약이야기

신장 질환으로 인한 부갑상선 항진증에 처방되는 레그파라정 시나칼셋(cinacalcet), 저칼슘혈증에 주의하세요! 원리 부작용 용법 용량 효과

폴리매스약사 2025. 3. 21. 09:28
반응형

 

 

안녕하세요 폴리매스약사입니다.

오늘은 신장질환으로 인한 부갑상선 항진증에 처방되는 레그파라정(시나칼셋,cinacalcet)이야기입니다. 🥰

 


부갑상선 호르몬(PTH)이 신장(콩팥)질환과 관계가 있나요?

 

출처: 서울아산병원

갑상선 바로 뒤에 4개의 부갑상선이 붙어있습니다.

예전에 씬지로이드와 칼슘 편에서 부갑상선 호르몬(Parathyroid hormone,PTH)은 우리 몸에 필요한 칼슘을 뼈에서 빼내어 온 몸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고 말씀드렸는데요. 칼슘이 부족한 것을 감지하면 PTH가 방출되어 뼈에서 혈액 속 칼슘을 올려줍니다. 그런데 투석환자분들은 PTH 수치가 높게 나타난대요. 왜 그럴까요?

이것을 이해하려면 비타민D 이야기가 필요합니다.

 

비타민 D는 햇빛을 받아 합성되거나 음식을 통해 들어옵니다. 비타민 D가 있으면 우리가 섭취한 음식 속의 칼슘(Ca)과 인(P)이 잘 흡수됩니다. 그런데 비타민 D는 위 그림처럼 간과 신장을 거쳐 '활성화'가 일어나야 제 기능을 합니다.

 

신장이 나쁘다면 비타민 D의 활성화가 일어나지 않으니 활성화된 비타민 D가 부족해지고, 장을 통한 음식물 속의 칼슘 흡수가 부족해지겠죠. 그러면 혈액 속의 칼슘이 부족하니 이를 알아채고 PTH의 분비가 늘어나죠.


(신장이 나쁘다 > 비타민D 활성화 안된다 > 칼슘흡수 부족 > PTH 분비 증가) 

투석환자분들이나 만성콩팥병 환자분들에게 일반적인 비타민 D 제제가 아닌 활성화된 비타민 D가 처방되는 이유입니다. 그러나 칼슘과 인의 수치가 올라갈 수 있게되니 반드시 주치의 선생님과 상의 후 처방받아 드셔야 합니다.

4기이상의 만성콩팥병이나 투석환자는 음식으로 섭취한 인(P)이 소변으로 배설되지 않아 인 수치가 높습니다. 인이 높으면 비타민 D 활성화도 저해되고 세포내 칼슘대사의 변화, 부갑상선 세포증식, 칼슘수용체 감소 등으로 PTH 분비가 늘어납니다.

💥 즉 비타민 D가 활성화가 안되고 인이 높아 지속적으로 PTH가 방출됩니다.

이는 결국은 뼈에서 칼슘을 뽑아내어 뼈를 약하게 합니다. 부갑상선 항진증은 PTH가 다량으로 분비되어 혈중 칼슘농도가 높아지는 질환이에요. 칼슘이 혈관이나 심장에 붙어 딱딱해지고 탄력을 잃게 됩니다. 장기적으로 심혈관기능이 떨어지고 심혈관 합병증으로 사망할 수도 있습니다.

부갑상선 호르몬(PTH)이 상승했을때 치료법

투석환자에서 PTH은 대략 150~300pg/mL 범위를 정상 목표로 합니다.

치료는 활성화된 비타민 D를 처방하여 낮추는 것이죠.

본키,원알파 등의 먹는 약이나 주사제를 사용합니다.

그러나 인이 높아지게 되므로 인 조절이 안되는 환자는 주의해야 합니다.

💥 PTH 수치를 낮춰야하는데 인 조절이 안되어 활성화 비타민 D 제제를 사용하기 꺼려질 때 칼슘유사체(Calcimimetics)인 레그파라(시나칼셋,cinacalcet) 성분을 쓰게 됩니다.

원리를 살펴볼까요?

 

시나칼셋이 부갑상선의 칼슘감지 수용체(Calcium sensoring receptor,CaSR)에 결합해 수용체의 감수성을 올려줍니다. 그래서 부갑상선이 칼슘을 잘 감지하게 되어 PTH 분비가 줄어들고, 혈중 칼슘 수치와 인 수치가 낮아집니다.

본문내용 일부출처 : [투석실 이야기] 부갑상샘 호르몬은 무엇인가요? (투석환자와 부갑상샘 호르몬) (sondoctor.co.kr)

 

 

레그파라정의 성상,용법,용량,적응증

레그파라정 25mg

레그파라정 75mg

투석을 받고 있는 만성신부전 환자와 관련된 이차성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의 치료.

급여기준 : 이차성 부갑상선 항진증을 보이는 투석중인 만성신부전 환자로서 동 약제를 투여하기 전 혈청칼슘이 9.0mg/dL 이상이고 부갑상선호르몬(iPTH)가 300mg/mL 이상인 경우. 다만 동 약제 투여 중 PTH 150mg/mL 이상인 경우 지속투여를 인정함.

분할투여하지 않습니다.

1일 1회 25mg을 복용합니다. 이후 iPTH 및 혈청 칼슘 농도를 모니터링하면서 1일 25,50,75mg로 용량 조정합니다. 상한량은 1회 100mg 입니다. 증량은 3주이상 간격으로 25mg씩을 증량폭으로 합니다.

레그파라정의 주의사항, 부작용

진짜로 칼슘이 떨어지는 저칼슘혈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정기적으로 꼭 혈액검사 하셔야 합니다.

저칼슘혈증 환자에게는 당연히 사용하면 안되고, 근육경련, 마비, 사지저림 등의 저칼슘혈증 증상이 오면 중단 후 주치의와 상의합니다. 구역,구토,식욕저하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하고싶은 이야기는 댓글로 편하게 달아주세요.

정보를 찾는 분들께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