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유 수유 중 감기약 복용 후 모유량 감소 사례
안녕하세요 폴리매스약사입니다.
항히스타민제나 비충혈제거제 등
복용하면 모유량이 줄어들 수 있는 약이 있다는 것, 아셨나요?
실제로 저도 종종 뵙는데요.
이와 관련해 대한약사회 지역의약품안전센터의 의약품 이상사례가
대한약사저널에 올라와있어 공유해봅니다:)
환자 정보
- 기본 정보: 29세 여성
- 현재 병력: 급성 기관지염(acute bronchitis)
이상사례 정보
- 보고시기: 2024년 11월
- 이상사례: 모유 수유 문제(breast feeding problem, maternal)
- 의심약물: 클로르페니라민(chlorpheniramine)4mg·페닐레프린(phenylephrine)10mg 복합제
레보세티리진(levocetirizine)5mg·몬테루카스트(montelukast)10mg 복합제
- 병용약물: 세픽심, 아세트아미노펜, 레보드로프로피진
이상사례 발현 경위 및 경과
- 환자는 출산 후 모유 수유 중 급성 기관지염을 진단받았고 클로르페니라민·페닐레프린 복합제, 레보세티리진·몬테루카스트 복합제를 포함한 처방 약물을 1일 3회, 4일간 복용하였음
- 정확한 시기는 기억나지 않으나 약물 복용 중 수유량이 감소한 것을 느끼고 약물로 인해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지에 대해 약국에 문의하였음
문헌조사
모유 생산은 임신 10~22주 사이에 시작되며 산모는 출산 후 48시간 내에 초유라 불리는 소량의 모유를 생산한다. 그러나 혈청 프로게스테론이 충분히 감소할 때까지(산후 최대 4일) 모유 공급은 더 증가하지 않으며, 특히 조산일 경우 수유가 지연될 수 있다. 모유 생산은 호르몬과 신경전달물질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의해 제어된다. 프로락틴은 아기의 자극에 반응하여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며 시상하부의 도파민에 의해 방출이 억제된다.
출산 후 한 달 이내에 모유 수유를 하지않는 산모의 기저 프로락틴은 임신 전 수준으로 돌아간다. 수유하는 산모에서는 프로락틴 수치가 높게 유지된다.
도파민 작용성 약물은 수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수유 억제에 사용되는 약물은 주로 도파민 작용제로서 과거에는 브로모크립틴(bromocriptine)이 사용되었으나 심근경색으로 인한 사망과 관련이 있어 더 이상 권장되지 않는다. 현재는 장기지속형 도파민 수용체 효능제인 카베르골린(cabergoline) 1mg을 사용하며 모유 중단을 위한 이상적인 복용 시기는 산후 첫 날이다.
- McGuire T. M. (2018). Drugs affecting milk supply during lactation. Australian prescriber, 41(1), 7-9. https://doi.org/10.18773/austprescr.2018.002
항히스타민제가 모유 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연구 자료가 상충되며 증거가 제한적인 편이다. 정상적인 치료 용량으로 사용되는 항히스타민제는 모유 생산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낮으며 특히 수유가 시작된 후, 즉 산후 6~8주 후에는 더욱 그렇다. 그러나 항히스타민제 복용 후 모유 생산 감소가 보고된 연구 결과 및 사례들이 있다.
클로르페니라민은 1세대 항히스타민제로서 모유 수유 중 소량(2~4mg) 복용할 수 있다. 용량이 더 높거나 장기 사용 시 아기에게 영향을 미치거나 모유 공급이 감소할 수 있다. 레보세티리진은 2세대 항히스타민제로 분류되며 모유 수유 중 사용이 허용된다. 다만 고용량 또는 장기 사용 시 아기에게 졸음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거나 모유 공급이 감소할 수 있다. 비충혈제거제인 페닐레프린은 경구 생체이용률이 매우 낮기 때문에 약물이 모유를 통해 대량으로 아기에게 도달할 가능성은 낮다.
그러나 페닐레프린을 정맥 주사하거나 경구 투여했을 때 모유 생산이 감소할 수 있다. 참고로 페닐레프린 비강 스프레이, 점안제 등은 수유량을 감소시킬 가능성이 낮다.
참고로 다빈도 사용되는 비충혈제거제 슈도에페드린(pseudoephedrine)은 수유부의 모유 생산량을 유의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한 연구에서 수유 중인 여성 8명에게 60mg의 슈도에페드린을 1회 투여했을 때 24시간 후 모유 생산량이 약 24%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슈도에페드린은 모세혈관을 수축시켜 유방의 혈류와 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는 슈도에페드린에 의해 뇌하수체에서 도파민이 증가, 프로락틴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 Aljazaf K, Hale TW, Ilett KF, et al. Pseudoephedrine: effects on milk production and infant exposure via breastmilk. Br J Clin Pharmacol. 2003;56(1):18-24. doi:10.1046/j.1365-2125.2003.01822.x

하고싶은 말이나 질문은 댓글로 편하게 달아주세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