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 항진증 치료제인 메티마졸과
갑상선 기능 저하증 치료제인 씬지로이드가 동시에 처방되는 이유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출처는 약문약답입니다 :)
1.갑상선 호르몬 원리와 종류

HPT axis https://cdn.kmpnews.co.kr/news/photo/201601/17941_9209_2611.jpg
출처 : 한국의약통신(http://www.kmpnews.co.kr)
시상하부-뇌하수체-갑상선 축(Hypothalamus-Pituitary-Thyroid Axis, HPT Axis)은 인체 대사에 필수인 갑상선호르몬을 조절하는 신경내분비계 입니다.
시상하부는 낮은 농도의 갑상선호르몬 T3,T4에 반응해 TRH를 분비하고, TRH가 뇌하수체를 자극해 TSH를 분비시킵니다. TSH가 갑상선을 자극해 정상범위에 들어올때까지 갑상선 호르몬 분비를 촉진시킵니다. 갑상선 호르몬은 또 음성피드백을 통해서 혈중 농도가 조절되는 원리입니다.
(1) T4 (티록신, Thyroxine)
: 갑상선에서 분비되는 주요 호르몬으로 T3으로 변환되어 활성을 나타냄
: 주로 혈액에서 단백질에 결합하지 않은 Free T4, FT4 형태로 측정
(2) T3 (트리요오드티로닌, Triiodothyronine)
: T4보다 활성이 더 강한 형태
: T3 총량(Total T3)을 주로 측정
(3) TSH (갑상선 자극 호르몬, Thyroid Stimulating Hormone)
: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갑상선이 T4와 T3를 분비하도록 자극.
: 갑상선의 기능을 간접적으로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됨. 일반적으로 TSH가 낮으면 갑상선 항진증을, 높으면 갑상선 저하증을 의심할 수 있음.
2.갑상선 호르몬 대표항체
(1) TSH R Ab (그레이브스항진증 유발 항체)
(2) anti TPO Ab (높을 경우 하시모토저하증유발,만성염증표시)
(3) TGAb (임상적으로 의미없으나 엄청 높을 경우 염증,암의심)
메티마졸은 갑상선질환 중 그레이브스 항진증에 주로 처방됩니다.
그레이브스의 원인이라 궁극적으로 치료목표가 되는 항체가 TSH R Ab 입니다.
메티마졸은 호르몬 억제 작용만 있는 것이 아니고 특이하게 이 항체도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FT4와 TSH가 정상이 되어도 항체를 줄이기 위해 소량을 장기간 복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항갑상선제와 갑상선 호르몬제를 동시 처방하는 이유
문제는 그레이브스 항진증 환자들 70% 정도는
TSH R Ab 뿐 아니라 저하를 유발하는 항체인 anti TPO Ab도 같이 있습니다.
anti-TPO Ab가 100 미만이면 수치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지만
anti-TPO AB 수치가 높은 환자의 경우는 메티마졸을 복용하고 시간이 조금 지나면,
항진을 유발하는 TSH R Ab 수치는 아직 높음에도 불구하고 FT4가 떨어지고 TSH가 5 이상으로 오르는 갑상선 저하가 되게 됩니다. (정상범위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0.4 ~ 5.0 uU/mL)
따라서 메티마졸로 TSH R Ab는 줄이면서
씬지로이드, 씬지록신으로 저하된 호르몬 수치를 정상치에 가깝게 만들게 됩니다.
그레이브스항진증이라도 anti-TPO Ab 수치가 많이 높으면 결국 시간이 지나면 갑상선저하증으로 진행됩니다.
갑상선 항체들은 매우 유동적이라 항진환자가 갑자기 저하가 될 수 있고, 염증을 동반할 수도 있어서 피검사로만 판단하면 안되고 초음파 검사 등이 동반되어야 합니다.
복합적이고 어려운 케이스, 특히 중증 안병증까지 있는 환자는 갑상선 세부전문의 선생님이나 종합병원으로 가시는게 맞습니다. 염증, 하시모토저하 초기 증상으로 항진이 올수도 있어 정기적인 피검사가 중요합니다.
4. 약 복용법
아침 공복에 식사와 적어도 2시간 두고 복용해야 합니다.
메티마졸과 씬지로이드,씬지록신을 동시에 복용하면 됩니다.
하고싶은 말이나 질문은 댓글로 편하게 달아주세요.
정보를 찾는 분들께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