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폴리매스약사입니다.
요즘 항산화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요.
오늘부터 커큐민에 대해서 얘기해보려고 합니다.
커큐민은 항암 환우 카페 등에서 유명하죠.
출처는 근거중심영양치료학회 에서 발간한 커큐민 바로알기 입니다.
내용을 그대로 가져왔습니다.
1. 커큐민이란?
1) 강황의 역사
강황은 노란빛이 많은 쓴맛의 향신료이다. 주로 카레가루나 머스타드의 주원료로 많이 사용된다. 강황의 짙은 노란색은 치즈, 버터 등 다른 음식들의 색소로 사용된다. 또한 전통적으로 강황은 여러 질환에 의약품처럼 사용되었다. 인도 전통의학인 아유르베다에서 강황은 천식, 기관지 과민성, 알러지 같은 수많은 호흡기 증상, 간질환, 식욕부진, 류마티스성 관절염, 당뇨병성 상처, 기침, 비염 등의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인도주변국에서는 강황을 상처 치료제로 사용하고 있고 중국 중의학에서는 강황을 복통 치료하는데 사용한다. 또한 힌두의학에서 강황은 항염제로 염좌나 부종을 치료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2) 강황의 구성 성분
강황은 평균적으로 1~6%의 커큐미노이드(curcuminoid)를 함유하고 있다. 커큐미노이드 중 대략 75%는 커큐민(curcumin), 15%는 desmethoxycurcumin (DMC), 10%는 bis-demethoxycurcu min (BDMC)로 구성된다. 다른 성분으로는 휘발성 오일 3~7%, 섬유질 2~7%, 광물 3~7%, 단백질 6~8%, 지방 5~10%, 수분 6~13%, 탄수화물 60~70% 함유하고 있다.

3) 강황 속 커큐민
강황의 약리학적 효과를 보이는 핵심 성분이 바로 커큐민이다. 커큐민은 폴리페놀 화합물이다. 커큐민은 다방면의 특성을 가진 분자로, 다양한 생체 활성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전통적으로 커큐민은 주로 아시아권에서 소비되어 왔으며, 수세기 동안 의료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광대한 전임상 그리고 임상적 연구를 통해 커큐민이 암, 폐 질환, 신경성 질환, 간 질환, 대사성 질환, 자가 면역 질환, 심혈관계 질환 등 다양한 다른 만성 질환에 약리학적으로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해 밝혀지고 있다. 다수의 연구에서 커큐민의 안정성과 유효성이 입증되고 있다.
4) 울금과 강황
울금과 강황은 학명도 curcuma longa로 동일한데 채취하는 부위만 다르다.‘강황’은 근경(뿌리줄기, rhizoma)을, ‘울금’은 덩이뿌리(radix)를 사용한다. 결국 같은 식물로 특정부위에 따라 명칭이 결정된다. ※식약처는 2016년 10월부터 울금을 “강황”으로 통합하여 부르기로 했다.
5) 커큐민 연구
BC 1900년부터 아율베다에서는 여러 질병에 강황을 사용했고, 강황의 핵심 성분인 커큐민의 구조는 1910년에 밝혀졌다. 학술 데이타베이스Pubmed에 올라온 커큐민의 첫 번째 생리활성 연구는 1949년이 네이처에 실린 항균작용이고, 커큐민의 첫번째 임상 논문은 담즙 배설에 관한 것으로 란셋에 1937년에 실렸다. 강황에 대한 연구는 1990년까지 100개의 연구에 불과했으나 최근에는 알츠하이머, 만성질환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약 10,000여개의 논문이 나와 있고 후속 연구들이 활발하다.

2. 커큐민의 대사
1) 커큐민의 흡수
커큐민은 소수성(Hydrophobic)으로 흡수가 거의 되지 않는다.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 시험에서 경구로 투여한 커큐민의 전신 생체이용률이 매우 낮았고, 경구 섭취 후에 혈장이나 혈청에서 커큐민 그 자체(free curcumin)보다는 대부분이 커큐민의 대사체(metabolites)로 검출된다.
커큐민은 다양한 질환에 대해 강력한 약리 효과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낮은 흡수율과 빠른 대사 때문에 별다른 빛을 보지 못하고 있다. 커큐민은 주사로 사용할 수도 없고 복강 내로 투여해도 빠르게 대사되어 배설되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생체이용률을 높이는 여러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시도되고 있는 흡수율 개선 법에는 SLCP 공법, 나노화, 인지질 화, 후추의 피페린 첨가, 리포솜화 등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2) 대사와 분포
커큐민은 대부분 위장과 간을 거치면서 글루쿠론산이나 황과 결합되고 대사되어 curcumin glucuronide, curcumin sulfate 형태로 혈액에 존재한다. 수많은 생체이용률을 개선시킨 커큐민 제형들이 있지만, 대부분이 커큐민 대사체 농도를 반영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대사 된 커큐민은 대사되지 않은 활성형 커큐민(free curcumin)에 비해 약리학적 효과가 떨어지고 필요한 조직으로의 이행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체내로 들어온 커큐민은 빠르게 대사 되며, 커큐민 혈중 농도가 반으로 줄어드는 걸리는 시간(반감기)은 불과 1~2시간이다.
4) 배설
섭취한 커큐민의 80%는 흡수되지 않고 그대로 대변으로 배설된다. 실험적으로 쥐에게 커큐민 1g/kg 투여시 65~85%는 그대로 대변으로 나왔다. 일부 흡수된 커큐민도 간에서 대사되어 주로 대변과 소변으로 빠르게 배설된다.
다음편에는 작용 원리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큐민 효능 부작용 추천 흡수율 높인 제품 복용시간 영양제 골드 차 오리진 강황 원리 항암 항산화제 3편. 커큐민 작용원리 (In vitro/In vivo) (2) | 2025.06.13 |
---|---|
커큐민 효능 부작용 추천 흡수율 높인 제품 복용시간 영양제 골드 차 오리진 강황 원리 항암 항산화제 2편. 커큐민 작용원리 (In vitro/In vivo) (2) | 2025.06.12 |
당뇨병 전단계에서 평생 당뇨병으로 진행되지 않을 수도 있나요? (2) | 2025.06.10 |
소염진통제(NSAIDs)와 심혈관 위험(CV risk)에 대해. (0) | 2025.06.09 |
와파린 복용과 건강기능식품의 관계 (1) | 2025.06.05 |